현대 디지털 환경에서는 빠른 정보 접근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 컴퓨터, 스마트폰, 인터넷 브라우저, 모바일 앱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우리는 ‘바로가기’ 기능을 통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바로가기의 개념, 주요 활용 사례, 플랫폼별 만드는 방법, 유용한 팁과 주의사항, 그리고 **자주 묻는 질문(FAQ)**까지 완전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1. 바로가기란?
**바로가기(Shortcut)**는 특정 프로그램, 웹사이트, 폴더, 파일 등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든 지름길 링크입니다. 원본 파일이나 위치를 열지 않아도 아이콘이나 버튼을 클릭하는 것만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
1-1. 주요 특징
-
원본을 삭제하지 않고도 접근 가능
-
바탕화면, 시작 메뉴, 작업 표시줄 등 다양한 위치에 생성 가능
-
바로가기 아이콘에는 화살표(▶) 표시가 있음
2. 바로가기의 대표적 활용 사례
2-1. 데스크톱 바로가기
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폴더를 바탕화면에 등록해 쉽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.
예: 엑셀, 한글, 회사 공유 폴더, 즐겨찾는 이미지 폴더 등
2-2. 웹사이트 바로가기
특정 사이트를 클릭 한 번으로 열 수 있도록 브라우저 바로가기 혹은 모바일 홈 화면에 웹 바로가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.
예: 구글, 네이버, 유튜브, 은행 사이트
2-3. 모바일 앱 바로가기
스마트폰에서는 앱 내 특정 메뉴나 기능을 바로 실행하는 앱 내부 바로가기(딥링크) 기능도 있습니다.
예: 배달앱에서 ‘찜 목록’ 바로 실행, 카카오톡에서 특정 채팅방 바로가기
2-4. 키보드 단축키 바로가기
윈도우나 맥에서는 프로그램을 단축키(예: Ctrl+Alt+숫자)를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바로가기 키 설정도 가능합니다.
3. 플랫폼별 바로가기 만들기
3-1. Windows에서 바로가기 만들기
-
파일 또는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
-
‘바로가기 만들기’ 클릭
-
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탕화면 또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
웹사이트 바로가기 만들기 (Chrome 기준):
-
브라우저에서 사이트 열기
-
메뉴 → ‘도구 더보기’ → ‘바로가기 만들기’ 클릭
3-2. Mac에서 바로가기 만들기 (Alias)
-
Finder에서 파일 선택
-
Command + L 키 또는 마우스 우클릭 → ‘Alias 만들기’
-
생성된 Alias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
3-3. Android에서 웹사이트 바로가기 만들기
-
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 접속
-
상단 메뉴 → ‘홈 화면에 추가’ 선택
-
아이콘 이름 설정 후 추가
3-4. iPhone에서 웹 바로가기 만들기
-
Safari로 사이트 열기
-
하단 공유 버튼 → ‘홈 화면에 추가’
-
이름 정한 후 완료
4. 바로가기 활용 꿀팁
-
폴더 바로가기 이름을 아이콘처럼 지정하면 깔끔한 UI 가능
-
중복된 프로그램도 여러 버전으로 바로가기 생성 가능
-
보안이 필요한 경우 아이콘 비활성화하거나 숨기기
-
단축키 등록 시 충돌 방지 위해 기존 단축키와 겹치지 않도록 설정
-
업무용 바로가기 정리는 생산성 향상에 직결
5. 바로가기 관련 주의사항
주의 항목 | 설명 |
---|---|
바로가기 삭제 시 원본 삭제되지 않음 | 삭제해도 데이터에는 영향 없음 |
바로가기 경로가 변경되면 실행 안 됨 | 원본 경로 수정 시 오류 발생 가능 |
바이러스 감염 우려 | 일부 악성코드가 바로가기 형태로 침투 가능 |
지나친 바로가기 남용 | 바탕화면이 복잡해져 오히려 비효율적일 수 있음 |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바로가기를 삭제하면 원본도 지워지나요?
A. 아닙니다. 바로가기는 원본을 연결하는 링크일 뿐이며, 삭제해도 원본 파일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.
Q2. 여러 개의 바로가기를 하나의 폴더로 정리할 수 있나요?
A. 가능합니다. 폴더를 만들어 각종 바로가기 아이콘을 정리하면 더욱 깔끔한 UI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Q3. 바로가기 아이콘이 갑자기 작동하지 않아요. 왜 그럴까요?
A. 원본 파일의 경로나 이름이 바뀌었을 경우, 바로가기는 유효하지 않게 됩니다. 해당 경로를 확인하고 다시 생성해야 합니다.
Q4. 모바일에서 특정 앱의 기능만 바로가기 할 수 있나요?
A. 일부 앱은 내부 메뉴(예: 카카오톡 채팅방, 인스타그램 특정 계정)로 바로가기 기능을 지원합니다. 이는 앱의 딥링크 기능을 활용합니다.
Q5. 바로가기 아이콘을 사용자 지정으로 변경할 수 있나요?
A. 네. Windows에서는 바로가기 속성 → 아이콘 변경을 통해 원하는 아이콘으로 설정이 가능합니다. 단, .ico 형식의 파일이 필요합니다.
결론
바로가기는 단순한 기능이지만, 업무 효율과 디지털 환경 내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. 특히 스마트폰, PC, 브라우저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바로가기 설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반복 작업을 줄이고 원하는 정보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